Skip to main content

· 16 min read
Jinwoong Kim

PKOS Study #3

가시다님의 Production Kubernetes Online Study (=PKOS) 2기 멤버가 되서 쿠버네티스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다. 이정훈님의 집필하신 "24단계 실습으로 정복하는 쿠버네티스" 책을 기반으로 하는 스터디이며 총 (4+1)주간 진행이 되고 있고 세번째 스터디 일정이 마무리 되었다.

이번 스터디 과제에서는 kOps 환경에 구축한 ArgoCD와 Argo Rollout를 좀더 잘 쓰기 위한 몇가지 내용들을 간단하게 기록용으로 작성하였다.

· 12 min read
Jinwoong Kim

PKOS Study #2

가시다님의 Production Kubernetes Online Study (=PKOS) 2기 멤버가 되서 쿠버네티스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다. 이정훈님의 집필하신 "24단계 실습으로 정복하는 쿠버네티스" 책을 기반으로 하는 스터디이며 총 (4+1)주간 진행이 되고 있고 두번째 스터디 일정이 마무리 되었다.

이번 스터디 과제에서는 Cilium을 기반으로 하는 kOps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네트워크 구성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Cilium는 Linux 커널 내에 강력한 보안 가시성 및 제어 로직을 동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BPF라는 Linux 커널 기술을 사용하는 CNI이다.

https://cilium.io/ https://kops.sigs.k8s.io/networking/cilium/

kOps with Cloud9

글을 작성하는 날짜 기준(23년 3월 18일), 버전은 1.25.11 으로 진행을 한다. 지난번 구성과 동일하게 Bastion은 Cloud9에서 구성을 진행하였다. 지난번 작성한 Cloud9 기반 인스턴스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github.com/jinwoongk/aws-cloud9-bootstrapping-example/blob/main/example_instancestack.yaml

· 10 min read
Jinwoong Kim

PKOS Study

가시다님의 Production Kubernetes Online Study (=PKOS) 2기 멤버가 되서 쿠버네티스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다. 이정훈님의 집필하신 "24단계 실습으로 정복하는 쿠버네티스" 책을 기반으로 하는 스터디이며 총 4주간 진행이 되고 있고 첫번째 스터디 일정이 마무리 되었다. 실제로 kubeadm, kubespray로는 경험이 있지만 이번 스터디에서 대부분의 실습은 kOps로 구성이 되어 새로운 방식으로 설치를 진행했다.

kOps

  • Kubernetes Operations (kOps) - Production Grade k8s Installation, Upgrades and Management

https://kops.sigs.k8s.io/ https://github.com/kubernetes/kops

kOps는 클라우드 플랫폼(aws, gcp, azure 등)에서 쉽게 k8s 를 설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로 서버 인스턴스와 네트워크 리소스 등을 클라우드에서 자동으로 생성해 k8s 를 설치하는 도구이고 kOps는 AWS 의 다양한 서비스와 유연하게 연동되어 사용 가능한게 장점이다.

글을 작성하는 날짜 기준(23년 3월 5일), 버전은 1.25.3 으로 진행을 한다.

· 11 min read
Jinwoong Kim

EKS CNI Networking 제약사항

https://docs.aws.amazon.com/ko_kr/eks/latest/userguide/cni-custom-network.html#custom-networking-automatically-apply-eniconfig

AWS에는 기본 ENI가 포함된 서브넷에서 사용할 수 있는 IP개수는 제한되어 있다. 파드의 수 제한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secondary ENI에 다른 서브넷을 사용하여 가용 IP개수를 늘릴수 있다. 또한 보안상의 이유로 파드는 노드의 기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다른 서브넷 또는 보안 그룹을 사용해야 할 수 있다.

CNI Custom Networking이 활성화가 되면 파드는 다른 서브넷에 생성이 되고, 노드 서브넷의 아이피를 사용하지 않는다.

EKS에서 파드 대역을 분리 하기 위해서 CNI Custom Networking 설정을 진행한다. 해당 env 값을 변경하면 즉시 aws-node 가 교체된다.

· 18 min read
Jinwoong Kim

지난글에 이어 이번에는 홈랩으로 구성한 EKS Anywhere 클러스터에서 운영, 개발환경 구성을 위한 여러가지 도구를 설치해보는 과정을 정리하고자 한다.

지난 포스팅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전글 - vSphere homelab 환경에서 EKS Anywhere 구성하기